용인연세

본문 바로가기
진료상담ㆍ031) 281-7071
입원상담ㆍ010) 2361-7071

척추 클리닉

환자의 치료를 최우선으로 생각하고 끊임없는 노력과 연구하는 용인연세병원

  • 허리디스크
  • 경추협착증
  • 요추관협착증
  • 목디스크

허리디스크

정상 추간판

허리디스크 (추간판 탈출증)

정의
디스크(추간판)는 척추뼈와 척추뼈 사이에서 완충 역할을 하는 조직으로,
추간판 중심부에는 젤리 같은 “수핵”이 있고, 외부층은 질긴 “섬유륜”이 있어 수핵을 보호하고 있습니다.
추간판이 부풀어 오르거나 수핵이 새어 나와서, 척수 신경을 물리적으로 압박하고
염증을 유발하는 화학물질이 신경을 자극하면, 신경이 붓고 염증이 생기면서
추간판 탈출증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척추 중 허리 부분인 요추에서 디스크가 밀려나와 질환이
발생하는 것을 요추 추간판 탈출증, 또는 흔히 허리디스크라 합니다.
원인

나이가 들면서 추간판에 퇴행성 변화가 생기면 수핵과 섬유륜의 탄력이 떨어지고, 균열이나 파열이 생기면서 추간판이 부풀어 오르거나 수핵이 새어 나올 수 있습니다.

잘못된 자세와 생활 습관은 추간판 탈출증의 원인이 됩니다. 무거운 물건을 반복적으로 들어올리기, 허리를 숙인 채 오래 일하기, 양반 다리나 쪼그려 앉기 등에 의해 허리디스크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또한 많은 경우에 특별한 사건 없이도 추간판 탈출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증상
허리 통증, 엉치 통증, 심한 경우 다리로 내려오는 방사통 등이 허리 디스크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대표적인 증상입니다.
대개 당기는 듯한 불편감, 표현하기 어려운 (타는 듯한, 찌르는 듯한, 욱신거리는, 저리거나 시리는 등)통증을 호소하며,
심한 경우 감각이 둔해지거나 이상감각(스치는 것만으로도 바늘로 찌르는 듯한 통증을 호소)을 느끼기도 합니다.
허리 및 엉치 통증
디스크 파열의 위치, 정도에 따라 가만히 누워 있어도 심한 허리 엉치 통증이 있을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특정 자세에서만 통증이 생길 수 있습니다.
감각 증상
다리 쪽으로 뻗치는 다리 저림, 당기는 증상을 느끼게 됩니다. 사타구니 부위, 허벅지 앞쪽, 무릎 앞쪽, 다리 옆, 뒤, 발등이나 발바닥까지 통증이나 감각이상, 저린 느낌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진단

요추 추간판 탈출 환자의 MRI 영상

환자에 대한 근력, 감각, 반사 검사 등의 진찰을 합니다.

기본적으로 엑스레이 검사를 시행하면서 척추 뼈의 구조를 살펴보지만, 엑스레이 만으로는 퇴행성 변화를 통해 의심 혹은 추정만을 할 수 있습니다.

엑스레이 영상으로는 디스크 또는 인대 같은 연부 조직을 살펴볼 수 없기 때문에 추간판 탈출증의 유무와 현재 디스크의 상태를 명확히 확인하기 위해서는 정밀검사가 필요하며 가장 정확한 진단 방법이 자기공명영상촬영(MRI)입니다. 현재까지의 의료영상 기술 중 디스크, 협착증, 골절, 인대의 손상, 가장 중요한 신경압박 혹은 손상의 정도를 확인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이기 때문입니다.

치료
증상이 지속된 기간, 통증의 강도, 재발의 횟수, 환자의 직업, 나이, 성별, 작업의 종류와 작업량,
특히 가장 중요한 신경학적 증상의 유무 등, 여러 가지 조건을 고려하여 보존적 치료 또는 수술적 치료를 시행합니다.
약물 치료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 근육이완제
물리 치료
고주파 치료, 온치료, 냉치료, 충격파치료, 허리나 목을 당겨 디스크 내압을 줄여주는 견인치료
재활 치료
도수 재활 치료, 운동 재활 치료
주사치료
신경차단술 : 영상장치를 이용해 정확한 병변에 최대한 근접해 약물 투여하여 염증, 부종 감소 효과
프롤로테라피 : 초음파 영상을 보며, 인대, 관절낭, 힘줄 등에 약물 투여하여 연조직강화
PI(통증 유발점 주사치료) : 초음파 혹은 수기를 이용해 통증 유발점이 되는 근육속에 약물 투여하여 근이완 및 통증차단 효과
예방
1
뇌경색 이차예방 위험인자들
뇌경색은 예방이 최선의 치료입니다. 예방을 위해서는 진단 및 검사를 통해 위험군을 미리 파악하고, 그 위험군들이 얼마나 위험한 지 알아야 하며 그에 따라 본인에게 맞는 맞춤형 이차예방 전략을 세워야 합니다.
2
허리를 숙이거나 구부릴 때
과도한 하중은 척추에 상당한 부담을 주게 됩니다.
물건을 들 때는 무릎을 굽혀 천천히 일어나는 것이 좋습니다.
과도한 하중을 들어 올릴 때는 항상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3
하루 10분 이상 스트레칭
허리를 자주 스트레칭 해주면 근육을 이완시켜 허리디스크를
예방하는데 좋습니다. 사무실이나 학교에서 의자에 앉아 쉽게
할 수 있는 운동으로 자주 스트레칭 해야합니다.